본문 바로가기

목원대 사진이론

측광모드 그리고 화이트 발란스

메일이 하루 늦었네요. 죄송~^^
 
 
 
자~~~
 
이번 주에는 뭘 공부했었죠?
 
화이트발란스 수동으로 맞추는 방법과 측광(측광모드, 노출잠금)에
 
대해 공부를 한 것 같습니다.
 
 
화이트발란스 수동으로 맞추는 방법은 지난 번 메일 화이트발란스 요약 메일에
 
함께 보내드렸으니 그걸 읽어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이어서
 
측광 모드와 노출잠금.
 
수업오신 분들께선 읽어 보시면서 한번 더 상기 해 보시고...
 
안 오신분들께선 읽어 보시면서 일단은 '어제 이런 거 공부했구나' 하는 정도라도 생각 해
 
보시기 바랍니다. 앞으로 계속 나올 이야기니깐 자주 부딪히게 될 겁니다. ^^
 
어쨌거나...스타트~~~^^
 
 
 
아~~~측광 강의 내용이 좀 어려웠나요?
 
측광 모드, 노출잠금...이런거 하고서 찍어보니 사진이 더 이상하게 찍히나요?
 
아직 배운 것도 별로 없는데 누군가가 사진을 찍어 달라고 하나요?
 
그럼 일단 다음의 내용만이라도 확실히 해 봅시다. ^^
 
이것만 잘 하셔도 상당한 실력의 소유자가 될 수 있습니다. 기초반 수강의 목적은
 
충분히 달성되는 것이구요. ^^
 
 
1) 전원을 키시고...
 
2) 평가(혹은 카메라에 따라서 평균, 다분할, 멀티) 측광으로 셋팅한 후 <-- 이건 뭔말이냐? 어제 공부 했죠? ^^
 
결석하셔서 모르시면 아래에 있는 내용정리, 측광모드 부분을 읽어 보십시오. ^^
 
3) 일단 조리개우선모드(Av  혹은 A)로 해서...심도로 사진을 찍을 것이냐, 동감을 표현한 사진을 찍을 것이냐를 결정해서
 
3-1) 심도 : 얕은심도(아웃포커싱)을 원하시면 조리개 개방, 깊은심도(팬포커싱)를 원하시면 조리개 조음
 
3-2) 동감 : 정지된 모습을 찍으려면 타임이 짧게 나오도록, 움직임을 표현하려면 셔터타임이 길게 나오도록 조리개 조절.
 
4) 원하는 대상에 초점 맞추고...
 
5) 김치~~~찰칵~!! ^^
 
 
이것보다 약간 더 업그레이드 된 사진 "쉽게 잘" 찍는 방법은 다음에 또 알려드리겠습니다. ^^
 
 
 
그리고 우리가 지금 수업시간에 하고 있는...어렵다고 생각하시는 내용들은...
 
멀리 보고 하는 것입니다. 그러니 어렵다고 포기하거나 하지 마시고
 
제가 드리면 일단 호주머니에라도 넣어 두시고 시간 나실때 하나씩 꺼내 드시면서...^^
 
물론 그때 그때 복습하시면서 익히시면 더 좋구요~^^
 
 
 
 
이번 주 수업부터의 수업...
 
의외로 재밌다고 느끼시는 분들도 계실 것이고
 
점점 어려워지니 슬슬 짜증이 난다고 느끼시는 분도 계실 겁니다.
 
조금씩 뭔가 복잡해 지는 것 같죠? 그래도 겁먹지 마시고 차근차근 해 보세요.
 
조금만 연습하면 충분히 소화할 수 있는 것들이니...^^
 
뭔말 하는건지도 모르겠고...대체 이걸 왜 하는지도 모르겠고...
 
그런 생각이 드시면 지금은 그냥 그런게 있나보다...생각만 하십시오.
 
참, 대체 이런걸 왜하는지...천천히 알게 되십니다. ^^
 
일단은 위에서 말씀드린 방법만 익히셔도 훌륭합니다. ^^
 
 
 
기초반...아주 쉬운 기초를 배우는 곳이예요 그쵸?
 
근데 너무 어렵죠? 사실 어려워요~^^
 
말이 기초반이지 거의 전문가 반이죠? ㅎㅎ ^^
 
저도 이런 어려운거 안가르치고 싶어요. 그냥 어울려 다니면서 사진이나 찍고
 
그중에 잘 나온 것 몇장 골라서 트리밍 해주고...칭찬해주고...^^
 
근데 그러면 안 될 것 같아요. ^^
 
사실, 이런 거 안하고도 사진 찍을 수 있어요. 작품같은 사진도 찍을 수 있고~
 
한데 이걸 하고 안하고는 나중에 달라요. 한장을 찍어도 제대로 알고 찍는거죠~^^
 
그냥 찍는게 아니라...어쩌다 한두장 건지는 것이 아니라...내가 의도한 사진을
 
찍고 내가 원하는 사진을 갖는거죠~^^
 
 
 
어쨌던...
 
지금까지 우리가 공부한 내용...몰라도 그러려니~~~하세요.
 
여러분들껜 지금 일단은 이걸 귀로 한번 들었다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사진을 6개월만 하고 관둘 것도 아니실꺼고...시험대비로 이 수업 듣는 것도 아니실꺼고...
 
앞으로 사진을 하다보면 수업시간에 다룬 내용이나 단어를 무수히 접하시게 될 겁니다.
 
그때, "아~~~이거구나~~~"하시면서 한개씩 한개씩 익히시면 되는겁니다.
 
그리고 앞으로 사진을 찍은 다음 결과물을 보고 "왜 이렇지?"라는 의문이 생길 때...
 
"혹시 그때 그 강의 내용인가?"하시면서 다시 시도해 보는 과정을 통해 익숙해 지실 것입니다.
 
한번도 못 들어봤으면  다음에 누군가가 그런 단어를 말해도 뭔말인지 모르니 흘려듣고...
 
평생, 찍은 사진 맡기면서 현상소에 "잘나온 사진만 인화해 주세요" 라고 할겁니까? ^^
 
혹은 찍은 사진들을 집에와서 잘나온 사진만 몇장 남기도 모조리 휴지통에 넣든지...^^
 
그러니깐...
 
지금 모른다고 스트레스 받지말고 편안한 마음으로~~~(그렇다고 너무 탱자탱자하진 마시고~^^)
 
 
 
 
헐~~~서론이 너무 길었네요. 수업 내용 정리합시다. ㅡ,.ㅡ
 
 
이번 주에는 측광모드와 노출잠금에 대한 기본에 공부했습니다.
 
정리를 해 보겠습니다. ^^
 
 
 
 
[측광모드]
 
측광 : 광량을 측정하는 것.
 
카메라가 빛의 양을 계산해서 노출을 결정하려고 할 때 일반적으로 3가지 모드가 있습니다.
 
물론 카메라 기종에 따라 다른 모드도 있습니다. ^^
 
1. 평균측광 (평가/멀티측광/패턴/다분할) : 내가 찍으려고 하는 모든 장면에서의 빛의 양을 측정해서 평균을 냅니다.
 
2. 중앙부 중점 측광 : 뷰파인더 가운데 있는 동그란 부분에 해당되는 장면에서의 빛의 양을 중점적으로 고려하고,
 
그 바깥 부분의 빛의 양은 약간만 고려해서 빛의 양을 측정합니다. 일반적으로 내가 찍으려고 하는 피사체가 가운데
 
있고, 그 것이 주요하다는 것에 착안하여 고안된 것입니다.
 
3. 스팟측광 혹은 부분측광 : 지정한 부분에서의 빛의 양만을 가지고 노출치를 결정하는 방법입니다.
 
 
 
연습삼아서 형광등과 같은 아주 밝은 물체가 화면의 일부를 차지하도록하여 3가지 모드로 노출치를 보시면서
 
사진을 찍어 보시고 결과물을 확인 해 보시기 바랍니다. 만약 조리개우선모드로 사진을 찍으셨다면
 
각각의 사진에서 같은 조리개값일 때, 셔터타임은 어떤지 확인 해 보시기 바랍니다. 어떤 모드에서
 
셔터타임이 제일 길고 혹은 제일 짧은지...
 
 
그런데...
 
이 3가지 모드에서 저는 스팟측광을 제일 추천드립니다.
 
사실, 평가측광이 제일 무난하고 쉽습니다. 내가 별 생각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리고 스팟측광이
 
제일 어렵습니다. 하지만 길게 본다면 스팟측광을 사용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현재 여러분들께서 스팟측광(혹은 부분측광)으로 사진을 찍으시면 한동안 사진에서 죽을 수시게 될지도 모릅니다.^^
 
"도" 아니면 "모"...^^
 
그래도 스팟측광(혹은 부분측광)으로 사진을 많이 연습을 해 보십시오. 많은 실패를 경험하십시오.
 
"모"에 접근하는 것에 대해서는 앞으로 조금씩 조금씩 말씀드리겠습니다. ^^
 
 
 
저는 여러분들께서 주로 스팟측광(혹은 부분측광)만으로 사진을 찍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단, 현 상태에서는 가족사진이나 친구들 사진, 혹은 중요한 사진이라면 평가측광(평균분할, 다분할, 평균측광)을
 
사용하십시오. 그리고...스팟측광을 사용해보니 도저히 어려워서 힘들다면 평가측광으로 한동안 가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평가측광...좋은 측광방법입니다. 카메라 회사에서 온갖 심혈을 기울여 만든 측광모드이니깐요~^^
 
 
 
측광모드 결론입니다.
 
주로 3가지 모드가 있었습니다.
 
1) 평가(평균, 다분할, 멀티) 측광모드
 
2) 중앙부중점측광모드
 
3) 스팟측광모드
 
평균(평가) 측광모드가 제일 사용하기 쉬운 모드이며 큰 실패를 주지 않습니다.
 
스팟측광모드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제가 추천드리는 모드입니다. 왜냐구요? 앞으로 조금씩 말씀드리겠습니다. ^^
 
 
이어서 노출잠금은 다음 메일로...^^
 
(괜히 쓸데없는 잔소리 잔뜩해서 메일이 2개로 나눠졌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