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목원대 사진이론

5-1 2014년 4월8일

어제는 지난주 공부한 것을 복습하고 좀 더 연습해 보는 시간을 가졌었네요.
 
그리고 이어서 ISO에 대해 공부를 했네요.
 
뭔가 많은 걸 한 것도 같지만...내용은 간단했습니다. 그쵸? ^^
 
지난 시간에 공부했던 내용(강의요약 4)도 한번 더 보십시오. ^^
 
흠...
 
메일을 2개로 나누겠습니다. 지난 과정 복습한 것과 ISO편으로. ^^
 
 
 
1) 우선 노출모드에 대해 카메라로 실지로 연습 해 보면서 복습했습니다.
 
노출모드...조리개와 셔터타임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하는 모드.
 
(1) 완전자동모드 : 모든 것이 자동. 조리개와 셔터타임 심지어 후레쉬를 터뜨릴 것인가...초점 맞추는 것 까지 자동
 
(2) 프로그램모드(P) : 조리개와 셔터타임을 카메라가 제공해 줍니다. 하지만 다이얼을 돌려 조합을 변경시킬 수가 있습니다.
 
(3) 타임우선모드(S, Tv) : 셔터타임은 내가 결정하고 조리개는  카메라가 자동으로 셋팅.
 
(4) 조리개우선모드(A, Av) : 조리개는 내가 결정하고 셔타타임은 카메라가 자동으로 셋팅.
 
(5) 수동(메뉴얼)모드 (M) : 조리개와 셔터타임을 내가 결정.
 
 
완전자동모드는 가능한 앞으로 사용하지 마시고...
 
수동모드를 사용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우선은 조리개우선모드(A, Av)로 사진을 많이 찍어 보십시오.
 
여러분들께서 앞으로 찍으실 사진들은 대부분이 심도를 우선으로 해야 하는 사진이 대부분이니
 
조리개값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론 타임이 중요한 사진도 있습니다. 그럴 때도 조리개우선
 
모드로 하시라 말씀드렸죠? 그 이유와 함께~^^
 
 
 
2) 그 다음 심도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네요.
 
심도 깊은 사진을 찍고 싶으면 조리개를 조여주시고...(조리개값이 높은 값으로. 16, 22...이런 값)
 
심도 얕은  사진을 찍고 싶으면 조리개를 개방하시고...(조리개값이 낮은 값으로. 2, 2.8...이런 값)
 
하지만 누누이 말씀드렸듯이 심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거리~~~!!! ^^
 
거리가 멀면 심도가 저절로 깊어지고...(우리가 먼 곳을 바라보면 전체가 잘 보이는 것 처럼)
 
거리가 가까우면 심도가 얕아지고...(우리가 아주 가까운 곳을 바라보면 눈에 초점 맞은 것은 잘 보이지만 나머지는 잘 안보이는 것처럼)
 
*** 심도에 영향력을 주는 우선 요인 순서
 
첫번째가 거리/두번째가 화각(아직 화각공부는 안했습니다. 나중에~^^)/세번째가 조리개.
 
그러니깐 조리개가 심도에 영향을 주는 것은 제일 낮은 수준.
 
하지만 지금 단계에서는 조리개와 심도를 염두에 두시고 심도 얕게하실려면 조리개 개방,
 
심도 깊게 하실려면 조리개 조여주세요. 하지만 말씀드렸죠? 나중엔 이것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조리개를 조여서 심도 얕은 사진도 찍고, 조리개를 개방해서 심도 깊은 사진도 찍어야 한다고. ^^
 
 
 
3) 그 다음...타임에 대한 이야기를 했네요.
 
정지된 모습을 담고 싶을 땐, 셔터타임을 아주 짧게.
 
움직임을 표현하려면 타임을 길게...
 
계곡의 물 흐르는 것...시간을 짧게해서 찍으면 고요한 장면이 찍히지만 타임을 길게하면
 
물이 급하게 흐르는 것 처럼 찍힌다고 말씀드렸죠? 폭포...분수...이야기도 생각나시죠? ^^
 
 
홈페이지에 있는 사진을 보면서 이야기도 했네요.
 
홈페이지(http://mpahome.byus.net/)에 2013년 4월 9일에 올라온 사진 중에
 
성근해님 사진(오랑대2)와 윤용중님 사진(바다)의 7번째 사진을 비교하면서 셔터타임에 대한 비교를 해 보세요. ^^
 
한장은 10초동안 찍고 한장은 100분의 1초동안 찍은...
 
10초동안 찍은 사진의 파도(물결)이 어떻게 표현되는지 보십시오.
 
타임이 길면 동감이 표현되고 짧으면 정지된 모습이 표현된...^^
 
어제도 말씀드렸듯이 다음에 여러분들께서도 바다에 놀러 가시면 특히 새벽에 바위 근처의
 
파도가 일렁이는 곳에서 조리개 조으고 타임을 길게해서 사진을 찍어 보십시오.
 
물론 삼각대 사용하셔야 하구요. ^^
 
 
 

'목원대 사진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출, 셔터타임, ISO 2014년 4월15일  (0) 2014.04.16
가까운 동네 출사  (0) 2014.04.14
5-2 2014년 4월18일  (0) 2014.04.13
노출 (4-1) 2014년4월1일  (0) 2014.04.02
노출 (4-2) 2014년 4월1일  (0) 2014.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