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목원대 사진이론

5-2 2014년 4월18일

 

이번엔 ISO편.
 
ISO편을 요약하고 나니 메일이 너무 짧아서 몇 가지 첨언. ^^
 
 
사진찍으실 때 다음 사항을 염두에 두십시오.
 
1) 가능한 배경을 간결하게 해서 사진을 찍으십시오.
 
2) 지금 단계에서 인물사진엔 조리개값을 5.6안팎으로 사용 해 보십시오.
 
누누이 말씀드리지만 나중엔 그보다 더 얕게도 찍어야 할 필요도 있고,
 
8...11...이상으로도 찍어야 할 필요도 있습니다. 조리개 32로 심도 얕은 사진 보여드렸죠? ^^
 
3) 풍경사진엔 조리개값을 8-11정도 하시라 말씀드렸죠? 그 이유와 함께. ^^
 
4) 접사사진엔 조리개값을 적어도 8이상 올려 주시고...
 
물론 이게 정답 아닙니다. 기초를 위한 기본 가이드~^^
 
 
 
자~~~이제 감도(ISO)
 
감도(ISO)는 내용은 쉽습니다. 몇번 연습하셔서 익히시기 바랍니다.
 
어제 수업에 오신 분들은 쉽게 연습하셨죠? ^^
 
 
[ISO(감도)]
 
일전에 노출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1. 조리개 2. 셔터타임 3. ISO(감도)
 
라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런데 그 중에 ISO는 나중에 하자고 하고 조리개와 셔터타임에 대한
 
이야기만 했습니다.
 
사실상, 기본적으로 노출(카메라에 담는 빛의 양)은 조리개와 셔터타임에 의해
 
결정됩니다.
 
하지만 적은 양의 빛으로도 사진의 밝기를 조절할 수도 있습니다. 그것이 감도(ISO)입니다.
 
쉽죠? ^^
 
 
자...대충 정리 해 보겠습니다. ^^
 
옛날에 필름 구입하실 때, 아사(ASA) 100주세요~아사 200주세요~라는 말 들어 보셨죠?
 
바로 그겁니다.
 
여러분들 카메라에서 ISO라고 되어 있는 버턴을 돌려 보십시오. 몇개의 값들이 나옵니다.
 
값이 올라 갈수록 (100, 200, 400, 800...) 입자가 거칠어 집니다(사진이 거칠게 나옵니다.).
 
물론 값이 내려갈수록 입자가 곱지요(사진이 곱게 나옵니다.).
 
깨끗한 사진(예, 인물, 특히 아기 피부, 꽃, 풍경 등)을 찍고 싶을 때는 낮은 값 사용,
 
투박하고 거친 사진(인고의 세월을 살아오신 노인어른의 거친 얼굴, 광산, 산업현장 등) 찍을 땐 높은 값 사용.
 
 
값이 100, 200, 400, 800, 1600으로 올라갈수록 노출이 한단계씩 올라갑니다.
 
예를들어, 다음의 노출값은 같은 밝기의 사진을 제공해 줍니다.
 
F4, S 4", ISO 100/ F4, S2", ISO200/ F4, S1", ISO 400/ F8, S 8", ISO 200/ 등등...
 
*** 예전에 노출을 결정하는 것은 조리개와 셔터타임이라고 했지만 이제는 ISO도 노출에
 
연관있다는 사실을 기억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보통 감도(ISO)를 높여야 하는 상황은 무대사진이라든가, 어두운 곳에서 삼각대도 없고 후레쉬도 터뜨릴 상황이
 
아니어서 셔터타임이 확보 안되는 경우에 감도를 올려서 찍는 경우가 많습니다.
 
같은 조리개값에서 감도를 올리면서 셔터타임이 어떻게 변하는지 한번 확인 해 보십시오. ^^
 
(예, 조리개 우선 모드로 놓으시고 조리개값 5.6에 ISO 100일때 셔터타임이 얼마인지 보시고...
 
다시 ISO값만 200, 400, 800...으로 바꾸면서 타임이 어떻게 변경되는지 보십시오. ^^)
 
디카의 경우 ISO값이 올라갈수록 노이즈가 많이 발생하는데...자기 카메라에서 그 정도를 체크 하십시오.
 
체크 하실 때는 약간 어두운 실내에서 삼각대를 세우고 하십시오.
 
 
쉽게 이야기하자면...
 
ISO값을 올리면 적은 양의 빛으로도 밝은 사진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신에 ISO값을 올릴수록 사진이 거칠어집니다.
 
맑고 깨끗한 사진을 원하시면 낮은 ISO값을 선택하십시오. ^^
 
 
자~~~~~~~~~~~!!!
 
일단 실내에서(좀 어두운 곳) ISO값을 변경해가면서 사진을 찍어 보십시오.
 
ISO 100으로 한장 찍으시고, ISO 1600이상으로 한장 찍어 보십시오.
 
그리고 두 사진을 비교 해 보십시오. 물론 카메라 LCD창이 아니라 컴퓨터 모니터로. 혹은 인화하셔서~^^
 
 
 
 
 
강의시간에는 하지 않았지만 혹시라도 모를 필름 사용자분들을 위해...
 
필름 카메라의 경우, ISO값에 따른 필름이 있습니다. 50, 100, 200, 400 등등...
 
주로 100을 많이 사용합니다. 무대사진 등을 찍을 필요가 있을 때는 400이나 800하나 구입하셔서
 
찍으시면 됩니다.
 
그리고 필름 카메라의 경우, 필름의 ISO값에 따라 카메라에서 그 값을 설정 해 주셔야 합니다.
 
전자식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필름을 끼우면 설정을 자동적으로 맞춰줍니다.
 
하지만 꼭 확인을 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설정을 일부러 틀리게 해서 찍기도 합니다.
 
예를들어 필름감도는 100인데 카메라에서 400으로 설정을 한다든지 하는 식으로...
 
혹은 설정을 잘 못해서 실수로 이렇게 되는 경우도 있겠지요?
 
그럴땐 필름 현상 하실 때 말씀을 드리십시오. 필름감도가 얼마인데 카메라에서 얼마로 설정을 해서 찍었다고...
 
그러면 현상시에 증차감해서 필름 현상을 합니다.
 
색다른 사진이 되기도 합니다. 필름카메라 사용자분들께서는 싼 필름을 가지고 장난을 한번 해 보십시오. ^^
 
 
 
그런데...
 
디카의 경우,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가능한 낮은 ISO값으로 사진을 찍으십시오.
 
더욱 심도를 깊게 가져가고 싶거나 도저히 셔터타임이 확보가 안될 때만 올려서 사용하십시오.
 
설령, 사진을 거칠게 표현하고 싶다고 하더라도 일단은 낮은 ISO값으로 찍어 두시기 바랍니다.
 
거칠게 표현하고 싶다면 나중에 후보정으로 얼마든지 표현 가능합니다.
 
후보정으로 사진을 거칠게 만드는 것은 간단하지만 맑게 만드는 것은 어려우니깐요.  ^^
 
 
일단 이 정도로~^^
 

'목원대 사진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까운 동네 출사  (0) 2014.04.14
5-1 2014년 4월8일  (0) 2014.04.13
노출 (4-1) 2014년4월1일  (0) 2014.04.02
노출 (4-2) 2014년 4월1일  (0) 2014.04.02
노출 2014년3월25일 3주째 (No2)  (0) 2014.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