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대사진아카데미기초반] 강의요약(3)
- 보낸사람
- 박재형 <jhbark@mokwon.ac.kr> 14.03.26 14:44 주소추가 수신차단
- 숨기기
- 보낸사람
- : 박재형 <jhbark@mokwon.ac.kr> 14.03.26 14:44 주소추가 수신차단
- 상세보기
X-DAUM-WEB-MAILER-FIRST-LINE |
: From jhbark@mokwon.ac.kr; Wed Mar 26 14:44:27 2014 | ||
---|---|---|---|
X-DAUM-INTERNAL-HOST |
: received by 10.27.16.194 | ||
Received |
: from smf.mokwon.ac.kr ([203.230.137.63]) by hermes of rmail-vm110.mail.daum.net (10.27.16.194) with ESMTP id i2QEiMlap513887000; Wed, 26 Mar 2014 14:44:22 +0900 (KST) | ||
Received |
: from external ([203.230.151.207])by smf.mokwon.ac.kr (1.0) id s2Q5i7A00226;Wed, 26 Mar 2014 14:44:07 +0900 | ||
X-SmartFilter |
: UNIQ,E3C7F8D3ED557A3F8C20A2E994AA56D9,s2Q5i7A00226 | ||
X-SmartFilter |
: FROM,s2Q5i7A00226,jhbark@mokwon.ac.kr | ||
Message-ID |
: <857FC009528D453A99B158A32CF81268@LocalHost> | ||
From |
: =?ks_c_5601-1987?B?udrA58f8?= <jhbark@mokwon.ac.kr> | ||
To |
: =?ks_c_5601-1987?B?w9bAscjx?= <cyh1349@hanmail.net>,=?ks_c_5601-1987?B?waSw5rz3?= <smalltalk20@naver.com>,=?ks_c_5601-1987?B?wPzAusO2?= <topaz5709@hanmail.net>,=?ks_c_5601-1987?B?wNPH5b/s?= <lim9414@hanmail.net>,=?ks_c_5601-1987?B?wMy/67/4?= <yleemail@hanmail.net>,=?ks_c_5601-1987?B?v+y787n8?= <wsb7185@naver.com>,=?ks_c_5601-1987?B?vue5zLb1?= <mryang8244@naver.com>,=?ks_c_5601-1987?B?vNW787z2?= <saran2120@hanmail.net>,=?ks_c_5601-1987?B?vK25zLDm?= <smk2183@naver.com>,=?ks_c_5601-1987?B?uem6wMH4?= <cleanmin@nhis.or.kr>,=?ks_c_5601-1987?B?udqx4rHV?= <kikyunp@gmail.com>,=?ks_c_5601-1987?B?sejH2Lfm?= <daewoo2727@hanmail.net>,=?ks_c_5601-1987?B?sei/67jx?= <robinkim61@naver.com>,=?ks_c_5601-1987?B?scfDysjx?= <chohee@kwater.or.kr>,=?ks_c_5601-1987?B?wba8usHf?= <zazz505@naver.com> | ||
Subject |
: =?ks_c_5601-1987?B?W7jxtOu758H4vsbEq7Wlucyx4sPKud1dILCtwMe/5L7gKDMp?= | ||
Date |
: Wed, 26 Mar 2014 14:44:07 +0900 | ||
MIME-Version |
: 1.0 | ||
Content-Type |
: multipart/mixed;boundary="----=_NextPart_000_0015_01CF4901.D74A7610" | ||
X-Priority |
: 3 | ||
X-MSMail-Priority |
: Normal | ||
X-Mailer |
: Microsoft Outlook Express 6.00.2900.5931 | ||
X-MimeOLE |
: Produced By Microsoft MimeOLE V6.00.2900.6157 | ||
X-Hermes-Message-Id |
: i2QEiMlap513887000 | ||
X-Hanmail-Peer-IP |
: 203.230.137.63 | ||
X-Hanmail-Env-From |
: jhbark@mokwon.ac.kr | ||
X-Hanmail-Class |
: F |
어제부터 오늘 아침까지는 비가 오더니 지금은 화창해졌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고 계시죠? ^^
어제 강의부터 살짝 골치아파지기 시작한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
그래도 너무 겁먹지 마시고 그냥 들으십시오. ^^
여러분들은 지금까지 아무 것도 배우지 않았어도 사진을 (잘) 찍으셨습니다.
지금부터 배우는 내용들은 그 (잘) 찍은 것에 약간의 날개를 달기 위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저와 함께 하는 시간에 뭔 소린지...저걸 뭐하러 하는지...통 모르겠고
골치아프셔도 포기하거나 하지 마시고 끝까지 따라 오시기 바랍니다.
모든 내용을 다 소화하기 힘드시면 이번학기엔 조금만 소화하셔도 됩니다.
내가 먹을 수 있는 만큼만 먹으면 되는겁니다. ^^
자~~~어제 수업은 어떠셨는지...^^
수학공식도 나오고...파이도 나오고...노출...
이런~~~
하지만 걱정하지 마시고 귀로 한번 들어보고...
이번 메일을 통해 한번 눈으로 보고...
그것만으로도 나중에 도움이 될 것이니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마십시오. ^^
노출은 앞으로 매번 부딪히게 되므로 조금씩 익혀나가시면 됩니다. ^^
아~~~그래도 어제 [조리개]와 [셔터타임]이란 단어는 들어봤습니다. 그쵸?
이상한 숫자가 나오고 그래서 뭔말인지 도통 모르겠지만...
1) 조리개는 빛을 받아들이는 문이고...(렌즈에서 결정)
2) 셔터타임은 빛을 받아들이는 시간이고...(카메라에서 결정)
3) 조리개를 조으면 (조리개 수치를 올리면) 심도라는게 깊어진다고 하고
4) 셔터타임을 길게하면 동감이 표현된다고 하고....
이런 말들은 기억이 살짝 나시죠?
오케이~~그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이번 주 강의 요약은 이것으로 끝~~~!!! ^^
근데~~~어제 공부한 것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정리해 보실 분들을 위해...^^
참~~~
어제 수업중에 제가 A(Av)로 놓고 해 보세요, S(Tv)로 놓고 해보세요,
M으로 놓고 해 보세요...라는 것을 했는데...
그게 아직은 뭔지 잘 모르셔도 됩니다. 조만간 자세하게 설명할 것입니다.
단지 어제 공부한 조리개와 셔터타임이란 것을 눈으로 확인 해 보기위해
한 것이니깐요. ^^
[기본사항]
1. 카메라에 상이 맺히는 곳은 필름카메라에는 필름이고, 디지털카메라에는 CCD 혹은 CMOS입니다.
이것들은 카메라의 맨 뒷부분에 있습니다.
CCD와 CMOS의 차이가 뭐냐? 네이버 지식검색에 물어보십시오. 제가 설명하면 또 머리아플까봐
모르셔도 상관없지만 꼭 궁금하신 분만 찾아서 읽어 보십시오. ^^
2. 이 필름, CCD, CMOS앞에 까만 막이 있는데, 이것을 셔터막이라고 합니다.
이 셔터막은 셔터를 누르지 않는 동안에는 이들 필름, CCD, CMOS에 빛이 안들어가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셔터를 누른다는 것은 이 셔터막을 열어주라고 명령하는 것입니다.
3. 또 셔터막 앞에는 미러가 있습니다. 이 미러는 사진 찍히는데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않고
우리가 뷰파인더로 장면을 볼 때 상이 똑바로 보이도록 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미러가 없다면 상은 상하가 뒤집혀 보입니다.
4. 사진이 어떻게 찍히는지 대충 순서 정해봅시다.
1) 초점잡고 셔터를 누름
2) 셔터막이 열림 (이때 동시에 미러도 올라갑니다. 여러분들이 사진을 찍을 때 철컥~~하는 소리는
이 미러가 올라갈때 나는 소리입니다.)
3) 셔터막이 열리면서 필름, CCD, CMOS에 빛을 주는 것입니다. 그러면 이 빛으로 인해 상이 맺힙니다.
즉, 사진이 찍힌다는 뜻이죠. 사진이란 것은 뭔가를 찍는 것인데 그 뭔가를 찍는다는 것은 그 뭔가가 반사하는
빛을 담는 행위입니다.
4) 셔터막이 닫히면서 끝! (물론 동시에 미러도 내려옵니다.)
참~~~쉽죠? ^^
지금은 이렇게 4단계로 했습니다만 그 사이사이에 앞으로 많은 행위가 들어갑니다.
그것은 앞으로 공부를 하다보면 저절로 알게 됩니다. ^^
자...그런데...
위에서 셔터막이 열리면서 빛이 들어오고, 닫히면서 빛이 차단된다고 했는데...
대체 얼마나 셔터막을 열어서 빛을 받아들이느냐...하는 문제가 생기죠?
빛을 얼마나 받아들이느냐....이게 바로 "노출의 문제"입니다.
자...그럼 앞으로 노출에 대해 공부 해 봅시다. ^^
노출을 결정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1) 조리개
2) 셔터타임
3) ISO
의 3가지 입니다.
그런데 ISO는 나중에 취급하기로 하고....일단 조리개와 셔터타임부터 알아 보기로 하죠~^^
[노출-1 : 조리개와 셔터타임]
첨부한 사진을 보십시오. 렌즈 속에 구멍이 보이시죠? ^^
어제 제가 가지고 온 렌즈에서도 보셨죠?
렌즈에서 뭘 돌리니 렌즈 속에 구멍 같은 것이 크게 넓어지기도 하고 좁아지기도 했죠?
그게 바로 조리개입니다. 빛을 받아 들이는 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제가 위에서 뭘 돌린다고 했는데 렌즈에서 조리개값을 셋팅하기 위해 돌리는 것입니다.
전자식카메라를 사용하시는 여러분들께서는 어제 카메라에서 다이얼을 돌려 조리개값을 결정하셨지만
옛날에 사용하던 아날로그 카메라에서는 조리개값을 렌즈에서 맞춥니다.)
당연히 문이 넓어지면 빛이 많이 들어오고 문이 좁아지면 빛이 적게 들어오겠죠?
또 한가지 더 이야기 해 봅시다.
만약에 시간을 오래두면 빛이 많이 들어오겠죠? 짧게두면 빛이 적게 들어오고~
사진에는 일정한 양의 빛이 담겨져야 합니다.
그렇지않으면 너무 환한 사진이나 너무 어두운 사진이 나오게 됩니다.
이렇게 필름 혹은 CCD에 빛을 받아들이는 것을 "노출"이라고 합니다.
일정한 양의 빛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조리개와 셔터타임으로 조작을 합니다.
우리는 어제 이에 대한 첫번째 수업을 한 것 입니다. 노출!!!
이 노출을 결정하는 것이 바로 조리개와 셔터타임입니다.
다시 말해, 조리개는 빛을 받아 들이는 문(door) / 셔터타임은 빛을 받아들이는 시간입니다.
문이 커지면? 예~~~한번에 빛을 많이 받아들이는거죠~
타임을 길게 하면? 예~~~빛을 많이 받아들이는거죠~^^ [노출-조리개와 셔터타임]
노출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조리개와 셔터타임을 이용한다고 했죠?
조리개치는...(빛을 받아들이는 문의 크기)
1 / 1.4 / 2 / 2.8 / 4 / 5.6 / 8 / 11 / 16 / 22 /......로 되어 있고
한 칸을 이동할 때를 1단계 혹은 1스톱 이동한다라고 합니다.
1.4니, 2니, 2.8이니...하는 숫자의 의미는 어제 설명드렸죠?
맞습니다. 그 골치 아팠던 거. 원의 면적 어쩌구저쩌구 한거~^^
너무 골치 아플 수도 있으니 여기서 다시 설명은 안하겠습니다. 이 메일에 파일 첨부 하나 했습니다.
그 첨부한 파일에는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물론 모르셔도 사진 잘 찍는데는 상관없지만...^^)
오른쪽으로 한칸씩 이동할 때마다 빛의 양이 반씩 줄고, 두칸을 이동하면 1/4로, 세칸을 이동하면 1/8로...
이런 식으로 받아들이는 빛의 양이 줄어듭니다.
오른쪽으로 갈수록 "조리개를 조은다"라고 표현하는데 다음시간에 말씀드리겠지만 오른쪽으로 갈수록
사진 전체가 점점 또렷하게 나옵니다. 이렇게 사진 전체에 대한 또렷함 정도를 "심도"라고 합니다.
사진 전체가 또렷해질 때를 [심도가 깊다]라고 말하고 희미할 때를 [심도가 얕다]라고 말합니다.
다음시간에 좀 더 구체적으로 하겠습니다.
물론 왼쪽으로 한칸씩 이동할 때마다 빛의 양이 2개 증가하고, 두칸을 이동하면 4배, 세칸을 이동하면 8배..
이런 식으로 받아들이는 빛의 양이 늘어납니다.
왼쪽으로 갈수록 "조리개를 연다.혹은 개방한다" 라고 표현하는데...왼쪽으로 갈수록 심도가 얕아져서
초점 맞춘 부분만 상이 또렷하게 나옵니다.
위의 수치는 예전의 아나로그 카메라에서 1단계 단위로 결정된 수치이고,
요즘의 전자식 카메라에 따라서 1/3단계 혹은 1/2단계로 결정되어 위의 수치 중간중간에
다른 값들이 있을 것입니다. 제 생각에 여러분들의 카메라는 1/3단계로 구분되어서 위의 숫자들
사이에 2개가 더 들어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
셔터타임은...(빛을 받아들이는 시간)
30" / 15" / 8" / 4" / 2" / 1" / 2 / 4 / 8 / 15 / 30 / 60 / 125 / 250 / 500 / 1000 / 2000 /......
로 위에 첨자 "이 붙은 것은 초를 나타내고 첨자 "이 붙어 있지 않는 것, 예를들어 60은 60분의 1초를 나타냅니다.
수치가 정확하게 2배 혹은 2분의 1로 되지 않은 것, 예를들어 60 다음에 125..인 것은
60다음에 120으로 했을 경우 수치가 나중에 누더기가 되니깐 깔끔한 수치를 위해 그렇게 만든 것입니다.
셔터타임도 마찬가지로 한 칸을 이동할 때를 1단계 혹은 1스톱이라고 합니다.
오른쪽으로 한칸씩 이동할 때마다 빛의 양이 반씩 줄고, 두칸을 이동하면 1/4로, 세칸을 이동하면 1/8로...
이런 식으로 받아들이는 빛의 양이 줄어듭니다.
물론 왼쪽으로 한칸씩 이동할 때마다 빛의 양이 2개 증가하고, 두칸을 이동하면 4배, 세칸을 이동하면 8배..
이런 식으로 받아들이는 빛의 양이 늘어납니다.
위의 수치도 1단계 단위로 결정된 수치이고, 카메라에 따라서 1/3단계 혹은 1/2단계로 결정되어
위의 수치 중간중간에 다른 값들이 있을 것입니다.
자~~~이것보다 좀 더 많은 것을 한 것 같은데...너무 많으면 복습하기도 힘들 것 같네요.
요 정도만이라도 익혀 주세요. ^^
나머지는 다음시간에 다음 진도 나갈 때 함께 한번 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
설령, 다른 것은 다 잊어도 아래 것은 희미하게나마 기억을 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
1. 셔터 타임이 길어지면 빛을 받아 들이는 시간이 길어진다.
2. 조리개를 넓히면(=조리개를 열면 열수록=조리개 수치가 작아지면) 빛을 받아 들이는 양이 많아진다.
3. 조리개를 넓히면 촛점 맞춘 부분만 또렷하고 그것보다 멀거나 가까운 피사체는 뭉게지는 사진이 찍혀진다.
그 반대로 조리개를 조을수록 전체적으로 상이 또렷해진다.
4. 셔터타임이 길어지면 움직임이 찍히고, 짧으면 정지된 모습이 찍힌다.
대체로 인물 사진은 조리개를 열고 찍습니다. 단체 사진(기념사진등)이나 풍경사진은 조리개를 조으고 찍구요.
** 조리개 수치와 타임 수치에 관한 원리는 어제 너무 복잡했나요? ^^
너무 복잡하단 생각이 드시면 그냥 통과 시키십시오. 앞으로 실전에서 조금씩 조금씩 익히죠 뭐~^^
파일을 하나 첨부하였습니다.
아주 옛날, 제가 사진 강의를 하지 않았을 때, 어떤 이유로 사진 배우는 어떤 분들께 만들어 드린 파일인데...
읽어 보시면서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조리개수치와 셔터타임의 수치에 관한 원리도 있습니다. ^^
지금 생각해보니 오래된 내용인데도 업그레이드 해 본 적도 없네요. ^^
그리고....누누이 강조하지만.......초점(핀)을 정확히 맞추는 연습을 평소에 충분히 하십시오. ^^
다음시간에 이 조리개와 셔터타임의 사용에 대해 좀 더 설명과 연습을 하겠습니다. ^^
-------------------------------- |
'목원대 사진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출 (4-1) 2014년4월1일 (0) | 2014.04.02 |
---|---|
노출 (4-2) 2014년 4월1일 (0) | 2014.04.02 |
2014년 3월25일 3주째(노출)(No1) (0) | 2014.03.26 |
2014년3월18일 초점이론 (0) | 2014.03.24 |
2014년 3월18일 이론 초점 (0) | 2014.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