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는 일출, 일몰, 야경 등 빛을 발하는 피사체가 있는 사진, 그리고 Bulb(B)타임에 대한
공부를 했습니다.
일반적인 피사체는 스스로 빛을 발하는 것이 아니라 빛을 받아서 반사를 합니다.
스스로 빛을 발하는 나무나 건물이나 사람이 없죠?
그런데 어제는 빛을 발하는 물체를 대상으로 한 사진에 대해 공부를 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번주 공부한 내용은 이론은 어쩌면 간단합니다. 어제 수업시간에도 보셨듯이...
그런데 실제로 몸에 익히기기에는 연습과 훈련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많은 연습이 필요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몇번 연습 해 보셔서 확실히 익혀 버리십시오.
몇 번 해봐서 익히면 쉬운데 잘 안해보기때문에 어려운....^^
[1] 일출, 일몰, 야경사진 찍기
일출, 일몰, 야경 등...스스로 빛을 발하는 물체를 찍을 때의 측광은...
그 피사체(해, 등)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스팟 측광을 하시어 찍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스팟기능이 없을 때는 그 피사체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부분측광측광으로 하십시오.
물론 측광을 하고나선 꼭 잠금장치를 눌러서 노출고정을 해 주시구요.
(참고로, 노출M모드로 하시면 잠금장치를 누르실 필요가 없습니다. 노출이 고정되니깐.)
제 경험상, 일몰, 야경은 해 혹은 불빛에서 좀 떨어진 곳에 3군데 스팟 측광해서 가운데 값으로 하시면 좋습니다.
(단, 가능한 구름이 없는 하늘에 측광하시는게 좋습니다. 구름, 흰 구름에 측광하면 노출부족이 되겠죠? ^^)
일출은 순식간에 해의 상황이 바뀌기때문에 노출이 금방금방 바뀝니다.
그리고 셔터타임이 다소 길기때문에 삼각대를 사용해야 합니다.
그러기때문에 스팟으로 하는 것 보다는 평균(평가)측광으로 하는 것이 실속적인 것 같습니다.
노출모드는 조리개우선 모드로 하구요.
그리고 몇 장 찍어 보셔서 자기의 카메라로는 얼마만큼 보정하고 찍는 것이 좋은지 데이타를 얻은 후,
그 보정치로 해서 계속 찍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야경도......
기본적으로 불빛 주변에서 3군데 정도 스팟해서 찍으시면 됩니다.
좀 구체적으로 이야기 해 봅시다.
1) 어두움속에서 불빛을 중심으로 한 사진(예를들어 엑스포 다리 사진 등)에서는
불빛 주변에서 3군데 정도 스팟측광해서 중간값 정도로 해서 찍으시면 됩니다.
혹은 빛이 비추어진 곳에 직접 측광하는 것이 좋습니다. 빛 자체말고 빛이 비추어진 곳.
2) 시내거리 야경 (예를들어 은행동, 궁동 등의 밤 거리사진)
중간 정도의 밝기를 보이는 불빛(간판 등) 혹은 좀 밝은 벽면이나 적당한 실내에 스팟해서 찍으시면 됩니다.
이것도 어디가 밝은 벽면인지 모르시면 스팟으로 몇군데 벽을 때려 보십시오. ^^
3) 평균(평가, 다분할)으로 찍으실 때...
빛을 중심으로 한 사진은 1단계 정도 마이너스 보정, 시내 야경사진은 1단계 정도 플러스 보정 하시면 될 겁니다.
위의 내용은 순전히 제 경험입니다. 요즘은 카메라 메이커별로 특성이 있어서 딱 이것이다...라고 말하기가 힘드네요.
여러번 찍어 보시면서 자신의 카메라 특성을 파악하십시오. ^^
그리고 야경 사진은 노출모드는 가능한 M모드(수동모드)로 하고 찍으시기를 권장합니다. ^^
야경이든 일출이든 일몰이든 기본적이며 전형적인 풍경사진은 근경, 중경, 원경을 염두에 두고
가까운 곳에 뭐 하나 배치시키고, 중간에 뭐 하나 배치시키고, 멀리 뭐 하나 배치시켜서 찍는 것 같습니다.
전형적인 사진이 그렇다는 이야기입니다. ^^
[2] 불꽃사진
불꽃 사진을 찍으실 때는 불꽃이 터질만한 곳을 미리 알고 삼각대에 카메라 거치시켜 위치를 정하고
초점을 맞추어 놓고 (원거리이므로 먼 물체의 어떤 곳에 초점을 맞추어 놓으면 됩니다. 이때 수동포커스(MF)로
하셔서 맞추시든지...아니면 자동포커스로 하셨다면 먼 거리 어딘가에 초점을 맞춘 후 MF로 버턴을 옮겨 놓으시면
초점이 고정됩니다.)
조리개는 대충 8정도로 하시고(왜 8정도인지는 수업시간에 여러번 설명 드렸죠? ^^)...
물론 불꽃이 터지는 곳이 너무 멀다면 빛이 부족할 수도 있으니 그때는 조리개를 좀 개방 해 주십시오.
타임은 벌브(B, bulb)로 해 놓은 상태에서(요 밑에 어제 공부한 B셔터의 내용 참조) 렌즈를 수건 등으로 가린 후
셔터를 누르십시오. (릴리즈 사용) 그리고 셔터를 잠근 상태에서 기다립니다.
그리고 불꽃이 올라 올 때, 수건을 치워주고...불꽃이 팡 터지면 다시 재빠르게 수건으로 덮어 주고...
이것을 원하는 불꽃의 숫자 만큼 찍히게 한 다음 셔터를 풀어 주시면 됩니다.
렌즈에서 언제 수건을 떼고 언제 덮을 것인가는 각자가 원하는 모양의 불꽃을 담고자 하는 장면에서
수건을 열어주고 아니면 덮어주면 됩니다.
예로, 불꽃이 쏴악 하늘로 올라가는 장면부터 팡~~~하고 터지는 장면까지 잡겠다면...
불꽃이 올라가는 순간 수건을 열고, 팡~~~터진 직후 바로 수건으로 덮어 주십시오.
안그러면 불꽃이 지저분하게 내려 오는 장면까지도 잡히니깐요.
팡~~~터지는 장면만 잡으시겠다면 쏴악~~~올라가서 터지기 직전 수건을 열어주시고
터진 직후 수건으로 렌즈를 덮어 주시고~
불꽃이 올라가기 시작해서 터지기까지는 대략 4초정도 걸립니다.
[3] B(벌브, bulb)셔터를 이용한 사진 찍기
이건 실습을 해봤죠? 강의실에서 불을 완전히 끄고 카메라 셔터막을 열어 놓은 채,
제가 후레쉬로 허공에 그림을 그리면 그대로 찍히는 것을 확인하셨을 것입니다.
B셔터는 내가 셔터를 누르고 있는 동안 계속해서 셔터막이 열려 있어서 빛을 계속 받아들이는
상태에 있는 것을 말합니다. B셔터로 해놓고 셔터를 1시간 동안 누르고 있으면 1시간동안
필름(혹은 CCD. CMOS)에 들어 온 모든 빛이 찍힙니다.
물론 이때에는 오랜시간 동안 손으로 셔터를 누르고 있기도 힘들고 손으로 누르고 있으면
카메라가 흔들리므로 릴리즈를 사용해야 합니다.
자~~~예를 들어, 쉽게 이해 합시다.
1) 아주 깜깜한 밤에 별의 궤적(별이 이동하는 모습을 그린 선)을 사진에 담고 싶다.
아주 깜깜한 상태에서 먼 거리에 초점 맞추고 B셔터로 하고 주무십시오.
그리고 몇 시간이 지나 빛이 아직 없는 깜깜한 상태에 셔터를 해지하십시오.
그동안 별이 움직인 궤적이 선으로 나타납니다.
(참고로, 디지털 카메라로 몇 시간동안 찍는 것은 삼가해 주십시오. CCD에 계속 전류가 흘러서
뜨거워집니다. 잘못하면 CCD가 타버립니다. 카메라 죽음! ^^)
2) 저녁이나 밤에 방 문을 닫고 원하는 거리에 초점을 맞추고 불을 끄고 아까 내가 설정했던 자리에 가서
후레쉬나 라이타 등으로 불을 키고 그림을 그려 보십시오. 강의실에서 실습한 것처럼...^^
다 그렸다 싶으시면 셔터를 해지하고 불을 키고 찍힌 모습을 보십시오. ^^
1)과 2) 공히, 아주 깜깜한 상태에서는 셔터를 열어 놓아도 아무것도 찍히지도 않습니다.
왜냐? 빛이 없기때문입니다. 카메라는 빛이 있어야만 뭔가가 찍힙니다. 그래서 사진을 빛이 그린 그림이라고 하지요? ^^
B셔터로 하시고 주변을 아주 어둡게 하고 후레쉬등을 이용하여 그림을 그려 보십시오. ^^
다음은 수업시간에는 대충 말하고 넘어갔지만 기억하고 계시면 도움이 될지도...^^
[4] 빛을 발하는 물체에 대한 색온도 설정
빛을 발하는 물체 그 자체를 찍을 때는 저는 개인적으로 주광을 좋아합니다.
그런데 빛 자체가 아니라 그 주변의 분위기까지 찍을 때는 다릅니다.
수동으로 한다는 것은...일출, 일몰, 야경에서는 그 곳에 가서 수동으로 화이트 발란스 맞추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죠? ^^
내가 직접 해 근처에 가서 수동으로 화이트 발란스 맞출 수 없지요? ^^
일반적으로...일출, 일몰은 주광으로 하는 것이 좋고, 더욱 붉은끼를 강조하시려면
색온도를 많이 올려주면 됩니다. (7000도 이상)
여러분들 카메라에서 화이트발란스모드에 집에 그늘진 모양있는것 있죠?
그것도 좋습니다. 붉은끼가 더욱 돋보여 보기 좋습니다.
그런데 일출, 일몰의 경우, 각각의 모드가 각각 특이한 색감의 다른 분위기를 연출 해 줍니다.
모든 모드를 다 사용해서 한장씩 찍어 보십시오.
일출 때 텅스텐 모드(낮은 색온도 값)로 찍어 보십시오. 멋진 색감의 사진이 찍힐지도 모릅니다. ^^
야경도 마찬가지로 다양한 모드로 찍어 보십시오.
좀 여유롭게 찍으시는 분들은 주광모드 한장, 백열등모드 한장, 형광등모드로 한장, 이렇게 해서
세장을 찍어 보시기 바랍니다.
필름카메라 사용자분들께서는 일출, 일몰, 야경...공히 주광용 필름(Daylight)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밤에 시간이 나실 때...카메라와 삼각대, 릴리즈, 수건을 지참하고 은행동거리나 대전문화예술의전당 등등으로 가셔서...
화이트발란스 모드, 평균에서 보정, 스팟 측광으로...해서 다양한 방법으로 찍어 보도록 하십시오. ^^
항상 말씀 드리는 것이지만 노출과 색온도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십시오~^^
물론 사진의 내용은 말할 것도 없구요~^^
'목원대 사진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학기 심화반 (0) | 2014.06.29 |
---|---|
한 학기을 마치며...기초사진반 (0) | 2014.06.29 |
11번 노출 (0) | 2014.06.02 |
10번 노출 2014년 5월20일 (0) | 2014.05.27 |
노출보정 (9) 2014년 5월13일 (0) | 2014.05.14 |